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챗봇 CHARLI 마스코트푸앙
Introduction

About CAU Introduction 3depth

글자 확대축소 영역

약학대학 서원희 교수, 실명 유발 안 질환의 과도한 혈관 신생 기전 규명

관리자 2024-03-25 조회 862

연구자,소속,학술지명,논문명,IF,Journal Quartile 항목으로 연구정보를 나열한 표

연구자 서원희, 김경리 소속 약학대학
학술지 명 Cardiovascular Research 논문 명
IF 10.9 Journal Quartile

서원희 교수, 김경리 연구교수 프로필 이미지

(왼쪽부터) 서원희 교수, 김경리 연구교수


약학대학 서원희 교수 연구팀이 당뇨 망막병증, 나이 관련 황반변성 등 안구 내 과도한 혈관 신생으로 인해 실명을 유발하는 안 질환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혈관 신생(angiogenesis)은 산소가 부족한 저산소(hypoxia) 상태 조직에 산소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새로운 혈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일컫는다. 


혈관 신생이 과도하게 일어나면 다양한 질환을 유발한다. 당뇨 망막병증,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이 당뇨나 노화 등으로 인한 안구 내 과도한 혈관 신생이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안구 내에 새롭게 만들어진 혈관들은 미성숙한 상태다. 혈액(산소)을 주변 조직으로 잘 전달하지 못해 안구 내 조직들이 저산소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혈관 신생이 다시 발생하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혈관 신생으로 인한 안 혈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혈관 신생 유발 물질인 혈관신생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를 억제하는 의약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러 부작용과 제한적 효능의 문제로 새로운 의약품 개발 필요성이 대두됐다. 


SCF Hypoxia cKIT PI3K/AKT ERK1/2 translation HIF-1a GLUT1 Glucose Glycolysis G6P 3PG Pyruvate Lactate ATP Angiogenesis Endothelial cells

당뇨 망막병증 및 나이관련 황반변성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혈관 신생의 새로운 기전


우리 대학 서원희 교수와 김경리 연구교수는 저산소 상태 혈관내피세포(endothelial cell)에서 줄기세포인자(SCF, stem cell factor)와 그 수용체인 cKIT 간 신호전달이 활성화되면 HIF(hypoxia inducible factor)라는 전사 인자의 발현이 증가하며, 이는 세포의 당 대사(glycolysis)를 촉진해 혈관 신생을 유발한다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서원희 교수 연구팀은 줄기세포인자와 수용체인 cKIT가 당뇨 망막병증, 나이 관련 황반변성과 같은 안 혈관 질환의 새로운 질환 타겟이란 점도 증명했다. 동물 모델을 이용해 줄기세포인자나 cKIT를 억제하면, 과도한 혈관 신생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서 교수 연구팀의 연구성과는 피인용도(IF, Impact Factor) 10.9를 기록한 학술지 Cardiovascular Research에 19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이번 연구성과는 혈관 신생으로 인한 안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서 교수 연구팀은 신규 질환 타겟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용해 안 혈관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가 될 바이오 의약품 개발 연구를 진행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