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챗봇 CHARLI 마스코트푸앙
Introduction

About CAU Introduction 3depth

글자 확대축소 영역

융합공학부 최종훈-의과대학 강신혁 공동연구팀, HIV 감염세포 치료 나노기술 개발

관리자 2023-06-13 조회 979

연구자,소속,학술지명,논문명,IF,Journal Quartile 항목으로 연구정보를 나열한 표

연구자 홍주혜, 최용현, 강신혁, 최종훈 소속 융합공학부
학술지 명 Small 논문 명 Nanosome-Mediated Delivery Of Hdac Inhibitors and Oxygen Molecules for the Transcriptional Reactivation of Latent Hiv-Infected Cd4+ T Cells
IF 15.153 Journal Quartile Q1

우리 대학 융합공학부 최종훈 교수와 의과대학 강신혁 교수 공동연구팀이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감염된 면역세포들의 잠복 상태를 깨워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나노물질 전달체 기술을 개발했다. 


왼쪽부터 홍주혜, 최용현, 강신혁, 최종훈 프로필 이미지


연구팀은 ‘산소를 담지한 나노 크기 리포좀(산소나노좀)’을 제작해 HIV가 잠복하는 데 있어 필수인 저산소 환경을 정상상태로 되돌렸다. 동시에 HIV 잠복에 관여하는 Histone deacetylase의 억제제를 산소나노좀에 동시 탑재해 세포 내에 성공적으로 전달했다. 


최종훈 교수는 “보다 효과적인 바이러스 세포 감염 치료를 위해 산소 및 효소 억제제 전달 나노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과학 기술적 의의가 있다”고 이번 연구성과를 설명했다. 


CD4+ T Cell Hydrophobic drug SAHA(vorinostat) Hydrophilic drug DB-cAMP Oxygen Nanosome ON_PEP A3.01(HIV-) ACH2(HIV+) NCHA1(HIV+)


이번 연구는 주재범 연구부총장이 연구 총괄 책임을 맡고 있는 우리 대학 융합의료기술 선도연구센터(ERC)의 지원을 받아 이뤄진 것이다. 우리 대학 융합공학부 홍주혜 학생과 최용현 박사가 공동 1저자, 강신혁 교수가 공동저자, 최종훈 교수가 교신저자를 각각 맡았다. 


연구성과가 담긴 논문은 피인용지수(IF, Impact Factor) 15.153을 기록한 국제 저명 학술지 ‘Small’을 통해 4월 28일 온라인 출간됐으며, 6월 10일에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한빛사(한국을 빛낸사람들)에도 소개됐다. Wiley 출판사의 약물전달 연구 Hot Topic에 선정되기도 했다. 


자세한 연구 내용은 ‘Nanosome-Mediated Delivery Of Hdac Inhibitors and Oxygen Molecules for the Transcriptional Reactivation of Latent Hiv-Infected Cd4+ T Cells’ 논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