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과
홈페이지생명과학과는 미래지향적인 전문인력의 양성과 세계적 수준의 첨단연구를 통해 국내외 생명과학분야의 선도그룹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원하는 Brain Korea(BK)21프로그램의 제 2단계 대형 사업단으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생명과학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앞으로 대형 국책사업을 유치하여 국내외 생명과학분야에서 선도적 위치에 서게 될 것입니다.
중앙대학교 교육이념인 “의와 참“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생명과학분야의 전문지식을 갖춘 정의롭고 참된 미래형 인재 양성을 우리의 교육이념으로 하며 중앙대학교의 교육헌장과 교육이념을 구현하여 교육목표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와 국가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올바른 가치관과 고도의 전문적 지식 및 창조적 사고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미래지향적이며 국제적으로 우수한 생명과학 인재를 양성함을 그 목표로 합니다.
교수진 소개
교수명 | 최종학위 및 대학 | 전공 | 강의과목 |
---|---|---|---|
김성기 | 동경대 농학박사 | 식물생리학 | 생화학, 식물생리학, |
심재국 | 중앙대 이학박사 | 생태학 | 생태학, 환경생물학, 군집생태학 |
이광호 | 고려대 이학박사 | 분자유전학 | 유전학, 인류유전학 |
박순철 | 인디아나주립대 이학박사 | 동물발생학 | 동물생리학, 발생학 |
이강석 | Wayne State University | 미생물학 | 미생물학 |
서상범 | SUNY/Binghamton 이학박사 | 기능유전체학 | 기능유전체학, 후성학개론 |
한윤수 | KAIST 이학박사 | 생물정보학 | 생물정보학개론, 진화학 |
강현아 | University of California 이학박사 | 분자생물학 | 분자생물학, 분자생명공학 |
전체옥 | 포항공대 공학박사 | 환경미생물학 | 미생물생태학, 미생물생리학 |
이상명 | 서울대 이학박사 | 세포생리학 | 세포학, 세포분화론 |
이성철 | 고려대 농학박사 | 식물세포학 | 식물병리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
현서강 | KAIST 이학박사 | RNA 분자 유전학 | 의생명과학 |
김근필 | 서울대 이학박사 | 분자유전학 | 분자생물학 |
강효정 | 아주대 의대 이학박사 | 신경생물학 | 신경생물학 |
김정웅 | 중앙대 이학박사 | 진화발생학 | 발생학 |
서영진 | 서울대 이학박사 | 면역학 | 면역학 |
윤성일 |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이학박사 | Big Data Biology | 생물통계학 |
김학균 | 서울대 이학박사 | RNA 응용생물학 | RNA 생물학 |
김정규 | 카톨릭대 이학박사 | 분자세포유전체학 | 유전학 |
정연상 | 부산대 이학박사 | 종양생리학 | 줄기세포생리학 |
이승환 | 포항공대 이학박사 | 단백질생화학 | 생화학 |
교과목 소개
학년 | 1학기 | 2학기 |
---|---|---|
1학년 | 일반생물학(1), 일반생물학실험(1), 일반화학(1), 일반화학실험(1) | 일반생물학(2), 일반생물학실험(2), 일반화학(2), 일반화학실험(2), 생물통계학 |
2학년 | 세포학, 세포학실험, 미생물학, 미생물학실험, 생화학, 생화학실험, 식물생리학Ⅰ, 식물생리학실험Ⅰ, 파이썬 기초 및 머신러닝 실습 | 동물생리학, 동물생리학실험, 분자생물학, 분자생물학실험, 미생물생태학, 기초과학데이터분석 |
3학년 | 식물생리학, 식물생리학실험, 유전학Ⅰ, 유전학실험Ⅰ, 미생물생태학, 발생학, 발생학실험, 환경생물학, 후성학개론, 생명과학연구Ⅰ | 일반생태학, 식물생리학Ⅱ, 식물생리학실험Ⅱ, 유전학Ⅱ, 유전학실험Ⅱ, 의생명과학, 미생물유전학, 후성학개론,생명과학연구Ⅱ |
4학년 | 생물정보학개론, 신경생물학, 응용생명과학, 줄기세포 생리학,생명과학연구Ⅲ | RNA생물학, 계통진화학, 면역학, 유전체학, 종양 생물학,생명과학연구Ⅳ |
졸업 후 진로
생명과학과는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최고의 생명과학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기초생명과학 분야의 지식함양과 함께 응용생명과학 분야의 적절한 융합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과정에 따라 생명과학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응용생명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21세기형 생명과학도의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본 학부의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된 인재들은 생명과학, 기초 의·약학, 생명공학 및 관련 융합분야에서 국내외의 대학교, 각종 연구실, 국공립연구소 등에 진출하여 풍부한 생명과학 지식과 국제 경쟁력을 갖춘 생명과학 분야 리더로서 성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