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챗봇 CHARLI
Introduction

About CAU Introduction 3depth

글자 확대축소 영역

임영신 박사와 중앙대학교 전경사진중대는 영원한 생명 설립자 故승당 임영신 박사

중앙대학교 창학정신

승당 임영신 박사의 80 평생(1899∼1977)은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로서 마주한 영광과 시련, 고난의 일생이었다. 

 

승당은 부친 임구환씨와 모친 김경순씨 사이 둘째딸로 전북 금산읍(현 충남 금산) 상옥리에서 태어났다. 승당의 부모는 개신교를 받아들이고 근대적인 사상에도 적극적이었지만 딸만큼은 가정적이고 평범한 여성으로 커주기를 바랐다. 유난히 배움에 대한 열망이 컸던 승당은 진학문제로 아버지와 자주 충돌할 수 밖에 없었다.

 

승당은 14살때 금산을 방문해 금산교회에서 집회를 주관하고 있던 미국인 여자 선교사 미스 골든(기전여학교 설립자)을 찾아 공부하고 싶은 간절한 마음을 토로했다. 골든 선교사가 전주 기전여학교 입학원서와 초청장을 보내옴으로써 결혼을 강요하며 진학을 극구 반대하는 부모를 설득할 수 있었다. 승당은 1914년 기전여학교에 입학했고, 중·고등 4년 과정을 거쳐 1918년 졸업한다.


승당의 인물됨과 애국정신은 학교생활에서부터 나타난다. 일본어시간에 입을 열지 않는 등 항일의식을 다지고 있던 승당은 같은 반 동무인 김연실의 집을 방문했다가 연실의 아버지인 김인전 서문교회 목사(이후 임시의정원 의장, 학무총장 대리 등 역임)를 만나면서 우리나라 역사에 눈을 떴다. 기전여학교 박현숙 교사를 중심으로 승당을 비롯해 유현정, 오자현, 송귀내, 유채룡 등 6명이 기도회를 조직했고, 나라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해달라는 기도를 매일 드렸다. 김 목사에게서 ‘동국역사’ 책을 얻어다가 여러 권 베껴서 전교생에게 돌려 읽도록 하다 골든 교장에게 들통 나 서문교회에 책을 모두 파묻는 사건도 있었다.

승당을 비롯한 기도회원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공주회(公主會)라는 비밀결사대를 조직했다. 매일 아침 조회시간에 부르는 일본국가를 부르지 않고 신사참배도 거부했다. 교실에 붙어있는 일본천황 사진의 눈을 뾰족하게 깎은 연필로 찔러놓는 등의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보수적이고 전근대적인 풍습에도 과감히 반대 의견을 내며 쓰개치마 벗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 일로 학생 5명이 퇴학 처분을 당하자 승당은 퇴학처분 철회를 요구하며 등교거부 운동, 동맹휴학 운동 등을 주동했다. 결국 학교 측으로부터 쓰개치마를 입지 않아도 되며, 아무도 퇴학시키지 않는다는 약속을 받아낸다. 

 

승당 임영신 박사 동상승당은 졸업 후 기전여학교 은사인 이순길 교사의 소개로 충남 천안의 직산 근처 양대라는 광산촌에 신설된 감리교계 소학교 교사로 부임했다. 이곳에서 자취 생활을 하며 생도들을 지도하고 기도회를 조직해 어린 가슴에 민족혼을 심는 데 몰두했다. 

 

3.1독립운동 직전인 1919년 2월 밀사로 온 전라도의 독립만세 책임자 함태영으로부터 3.1독립선언문을 전달받아 기독동지회와 함께 등사·배포해 천안, 양대 지역에서의 3.1독립운동을 유발시켰다. 이어 독립선언문을 전주로 운반하는 동시에 전주기전여학교의 졸업생, 재학생들과 더불어 태극기를 만들고 독립선언문을 살포해 1919년 3월 13일 전주에서의 3.1독립운동을 주도했다. 일본 경찰에 발각될 고비를 여러번 넘기고 승당이 무사히 전주에 도착함으로써 전주 장날인 3월13일 정오 남문 인경소리를 신호로 대한독립만세 소리가 울려퍼진 것이다. 이 만세운동으로 승당을 비롯한 여학생 13명을 포함해 총 300여 명이 검속됐으며 일본 형사의 모진 고문을 당해야 했다. 소요죄와 보안법 위반죄로 기소당한 여학생들은 전주지방공판의 일본인 판사로부터 승당은 징역 6개월과 집행유예 3년, 다른 동지들은 1년에서 2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6개월간의 옥고를 치른 승당은 보석으로 풀려났다. 검찰이 원심 판결에 불복해 열린 1919년 9월 3일 대구복심재판소 재판은 원심을 확정하는 것으로 끝났다.


승당은 일경의 감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으로 그해 11월 일본 히로시마고등여학교(히로시마여자전문학교)에 편입했으며 2년만에 졸업했다. 충남 공주의 영명학교 교사를 지내다 1923년 도미 길에 오른다. 유태영에게서 건네받은 관동 대지진때 학살된 수천명의 한국사람 사진첩과 사건자료를 가지고 미국에 도착한 승당은 이승만을 만나 서울에서 갖고 온 편지와 사진 등을 건넸다. 이승만은 제네바 국제연맹에서 이 자료를 보이며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고, 대한민국의 독립을 주장했다.


미국 남가주대학에 입학한 승당은 고국에 여자전문학교를 설립할 생각으로 학업 외에도 청과물 장사, 주유소 경영, 불도저 운전 등 돈버는 일이라면 마다하지 않았으며, 한인교회를 세워 선교사업을 전개하면서 이승만의 독립운동을 뒷받침했다. 미국생활 중 이승만의 청혼을 받기도 했던 승당은(이승만의 ‘승’을 따서 호를 지음) 남가주대학을 거쳐 같은 대학 대학원까지 졸업하고 고향을 떠난 지 10년 만에 귀국해 서울YMCA 총무에 취임했다.

진정한 민족교육을 위해 학교설립에 대한 생각을 떨치지 않고 있던 승당은 서울 흑석동 일대의 토지 20만평을 매입한다. 운영난을 겪고 있던 중앙보육학교(1916년 설립)를 1933년에 인수하면서 ‘의에 죽고 참에 살자’는 이념을 본격적으로 펼치게 된다. 

 

승당은 모자라는 학교 건립비를 충당하기 위해 또 다시 미국으로 건너간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부인을 만나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후원회를 조직하고, 중앙보육학교 교사와 기숙사, 유치원을 세웠다. 이는 현재의 중앙대학교로 발전하게 된다. 모금운동 중 재미실업가 한순교씨를 만나 결혼했지만 3년도 채 지나지 않아 승당의 귀국을 계기로 혼인생활은 마감됐다.


일제 치하의 한국 땅에서 승당은 항일운동을 위한 만남의 내용이 담긴 편지를 핑계로 일본경찰에게 고문을 당해 폐인 상태까지 가게 된다. 미주에서 활동하는 이승만을 지지하던 승당은 광복 후 이승만 중심의 대한민국대표민주의원 의장(이승만) 비서로 일하면서 유엔대표로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등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기 시작했다. 조선여자국민당을 창당해 여성들이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평등하게 확보할 수 있는 명실상부한 민주주의적 정치체제 건설을 표명한다.


승당은 1960년 3·15 부정선거를 계기로 정치에서 손을 떼고, 교육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대한교육연합회장, 상공일보 사장, 경제일보 사장, 한국부인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1968년 아이젠하워상, 1969년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