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대학원
홈페이지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은 지난 47년간의 선구적인 사회개발 연구의 학풍을 근간으로 하여 글로벌 시대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론과 기술 및 가치관을 겸비한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교육내용은 해당 전문인력이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담당해야 될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 항목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 사회과학 이론에 바탕을 둔 학제 간 교육과 훈련
- 이론과 실제적 지식의 습득과 배양
- 사회정의의 추구와 비판적 사고역량 강화
- 사회복지를 주도할 확고한 가치관의 확립
담당업무 및 연락처
성명 | 직위 | 연락처 | 담당업무 |
---|---|---|---|
김연명 | 원장 | 02-820-5030 | 사회복지대학원 총괄 |
왕상설 | 팀장 | 02-820-5075 | 사회복지대학원 교학행정 업무 총괄 |
권용례 | 과장 | 02-820-5032 | 사회복지대학원 교학행정 업무 |
- 위치303관(법학관) 704호
- 대표전화02-820-5032, 5034
교수진 소개
사회복지학과
교수명 | 직위 | 학력 | 학위명 | 연구분야 |
---|---|---|---|---|
김연명 (원장) |
교수 | 중앙대학교 | 문학박사 | 사회복지정책사회보험 |
정슬기 | 교수 | Washington University inSt. Louis | Ph.D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김성천 | 교수 | 중앙대학교 | 문학박사 | 사회복지실천론 |
이선혜 | 교수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Ph.D | 정신보건가족치료 |
김교성 | 교수 | University of Pennsylvania | Ph.D | 비교사회정책복지국가 |
최영 | 교수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Ph.D | 사회복지정책론 |
장영은 | 교수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Ph.D | 아동발달아동복지 |
이승윤 | 교수 | University of Oxford | 사회정책학 박사 | 사회보장론 |
이연정 | 교수 | University of Pittsburgh | 사회복지학 박사 | 노년학 이론과 실천 |
아동복지학과
교수명 | 직위 | 학력 | 학위명 | 연구분야 |
---|---|---|---|---|
이주리 | 교수 | 서울대학교 | 문학박사 | 아동발달 |
청소년학과
교수명 | 직위 | 학력 | 학위명 | 연구분야 |
---|---|---|---|---|
문성호 | 교수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문학박사 | 청소년복지 |
교과목소개
사회복지 | 가족복지론 가족치료 강점관점사회복지실천 건강보장론 기업사회공헌 노동시장과사회복지 노인복지론 다문화복지론 미술치료 복지국가론 비판적사회복지실천 빈곤론 사례관리론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발달사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와재정 사회복지와철학 사회복지윤리와철학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홍보와마케팅 사회적경제 상담실기 아동복지론 언론과 사회정책 여성복지론 |
연금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권과 사회복지 장애인복지론 정신건강론 중독과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복지론 질적연구방법 페미니즘과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의 쟁점 한국의 복지정치와 정책 |
---|---|---|---|
아동복지 | 가족복지론 교사-유아상호작용실제 기초통계 기초통계2 논문작성법 논문작성세미나 놀이치료 다문화가족복지론 레지오 에밀리아 유아교육 미술치료 부모교육 부모상담 부모상담기술 심리치료기법 |
아동과미디어활용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아동교사교육과리더쉽 아동교육의새로운동향 아동권리와복지 아동독서치료 아동문학 아동미술 아동발달의 이해 아동복지실천론 아동상담론 아동수과학지도 아동심리상담 아동연구세미나 |
아동을 위한 다문화교육 아동의사회정서발달 아동인권과 보호체계 세미나 연구방법론 영유아교수방법론 영유아기관과부모협력 영유아발달과놀이세미나 영유아보육정책세미나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언어교육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질적연구방법 창의성발달과교육 |
청소년 | 기초통계 연구방법론 이상심리 집단상담 청소년기관운영과평가 청소년문제 |
청소년문화 청소년복지 청소년상담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인권과참여 청소년정책론 |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청소년학세미나 청소년활동론 |
졸업 후 진로
각계각층의 전문인으로서 사회복지사,보육교사,보건교육사,청소년 지도사 등으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