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심화과정
전공심화란?
주전공 학과의 교과목을 집중 이수하는 과정이며 심도 있는 학문적 수련을 통해 주전공에 대한 전문성을 배양하는 제도
전공심화과정 이수 기준
- 전공심화과정 이수자는 졸업에 필요한 전공별 이수요구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함. (졸업이수기준 참조)
- 졸업에 필요한 전공 및 전공심화과정 이수요구 학점은 대학별 기준에 따름.
- 전공심화과정 이수자는 학위증,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에 “심화이수”로 기재됨.
- 2002학년도 이후 입학자 및 2004학년도부터 2008학년도 이전 일반편입생(이수교과목 학점 인정)은 전공심화과정을 이수하거나 주전공에서 최소전공이수학점을 선택할 경우 다전공 중 하나 이상 반드시 이수하여야함.
- 부전공은 다전공에 포함되지 않음. 단, 2008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다전공 이수에 부전공 포함 함.
- 전공심화과정은 휴·복학 여부와 관계없이 입학년도 기준임.
교양 및 전공과목 이수 기본 지침
- 모든 교과목은 ‘재학년도에 편성된 교과과정표의 해당 학년에 맞추어 이수함’을 원칙으로 함.
- 2002학년도 이전 입학생 중 학적변동으로 1학년에 복학한 학생은 복학연도도 기준을 적용하여 이수함.
- 구 교과과정에서 2학점 한학기만 배정했던 교과목을 새 교과과정에서 3학점 한학기만 배정한 경우 3학점을 이수하면 과목이수로 인정함.
- 동일교과목을 중복 수강하여 취득한 학점은 졸업학점에서 이를 감산함.
- 교과과정표에 정한 교양과목, 전공기초과목, 전공과목은 필히 이수하여야 함. 이들 과목 중 미이수과목이 있을 경우 총 취득학점이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초과하여도 졸업을 허가하지 않음.
- 상급학년에 배정된 과목으로 선수과목의 제약이 있을 경우에는 선수과목을 먼저 이수하여야 함.
졸업에 필요한 전공 및 전공심화과정 이수요구 학점(2011학년도 이후 입학생 적용)
구분 | 인문·사회계열학과(부) | 사범대학 | 자연·공학계열학과(부) | 예·체능계열학과(부) | 비고 |
---|---|---|---|---|---|
2011년 이후 입학 전공심화과정 (최소전공인정학점) |
66(45) | 66(50) | 66(45) | 69(54) |
|
전공심화과정은 휴·복학여부와 관계없이 입학년도 기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