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Your Future.
연구에 따르면, 인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보유한 내성 유전자 프로파일은 개인 간 차이를 보인다. 연구팀은 이러한 개인차를 두 개의 내성체 타입(resistotype)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빈도가 낮은 타입에서 전반적인 내성 유전자 빈도가 높으며 특정 항생제 내성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 질환 유무, 항생제 사용 유무에 따라 두 가지 내성 타입 간 비율
정확도 98%의 신개념 피부부착 반도체 스트레인 센서 개발… 신구조와 AI 기술로 변형의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측정
연구팀이 개발한 ‘전하 축적 플러터 기반 정전 소자’는 전도성 시트의 플러터링(fluttering) 거동과 내부 스파크 발생 구조 설계를 통해 1A(암페어)의 높은 피크전류 출력을 480Hz로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을 최초로 확립한 결과물이다. 36mA의 RMS(유효) 전류 출력도 확보함으로써 기존 정전소자 분야의 낮은 피크와 유효 전류 출력 한계를 극복하는
이상권 교수 연구팀은 금속과 반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높은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에 2단계 열처리라는 방법을 적용해 물질 자체의 특성저하 없이 접촉저항을 줄이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2단계 열처리 후에 대면적 PtSe2 박막의 제벡 계수와 파워 지수는 각각 ~160 μV/K 와 ~42 μW/mK2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사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