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챗봇 CHARLI
Introduction

About CAU Introduction 3depth

글자 확대축소 영역

시스템생명공학과

시스템생명공학과

인류문명과 기술은 농업, 산업혁명, 정보통신의 혁신을 거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생명공학 분야가 그 발전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1세기 생명공학의 시대는 유전체(genome)을 기반으로 하여 전사체(transcriptome), 단백질체(proteome), 대사체(metabolome) 등의 Post-genome 기법을 핵심으로 하는 시스템생명공학이 주류라 할 수 있습니다. 즉,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부터 개체, 생태계 수준에 이르는 생명체의 시스템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 생화학, 생명공학 등을 시스템적으로 접근하는 학문이 ‘시스템생명공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미래 지향적인 과학자와 기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12년 3월부터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 ‘시스템생명공학과’가 신설되어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중앙대학교 시스템생명공학과는 신학문의 조류에 걸맞은 응용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전문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능력을 함양하여 국가는 물론 국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본 학과는 그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중앙대학교 생명공학과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2단계 BK21 사업에 참여하는 등 중앙대학교내의 응용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교수진 소개

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진 명단에 따른 학위와 담당 전공, 강의과목의 안내
교수명 최종학위 및 대학 전공 강의과목
신차균 Ohio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 세포생물학, 분자바이러스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생명과학2, 면역학
차창준 University of Cambridge이학박사 시스템미생물학, 환경미생물학 미생물학, 미생물학실험,기초생화학
정원희 University of Manchester이학박사 병원미생물학, 진균기능유전체학 생명과학, 병원미생물학, 분자유전학
설우준 Michigan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 시스템생물학, 생명정보학 연구년
이상준 KAIST 이학박사 분자유전학, 대사공학, 합성생물학 생화학, 생화학실험, 시스템생명공학실습, 산업미생물학
박경순 Gwangju Institute of Scienceand Technology(GIST) 공학박사 생체재료, 나노의약, 생체영상 나노바이오공학, 화학2, 기기분석실험, 분석화학
김경동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분자미생물학, 후성유전체학 미생물학실험, 분자생물학, 시스템미생물학, 바이오산업
윤정기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줄기세포, 조직공학 실험통계학, 유기화학, 생물재료
손영민 서울대학교 농학박사 동물생명(면역학) 미생물생태학

교과목 소개

시스템생명공학과 학년 별 1학기, 2학기 교과목 소개
학년 1학기 2학기
1학년 생명과학, 화학 생명과학2, 화학2, 실험통계학
2학년 미생물학, 유기화학, 세포생물학, 생물물리화학 미생물학실험 생물공학, 시스템미생물학, 분석화학, 기기분석실험, 기초생화학
3학년 생화학, 분자생물학, 생리학, 생물재료, 생물정보학, 생화학실험 면역학, 분자유전학, 생명정보프로그래밍, 산업미생물학, 시스템생물학, 의생명공학
4학년 시스템생명공학실습, 병원미생물학, 생명공학데이터프로세싱, 나노바이오공학, 미생물생태학 정제공학, 바이오산업

졸업 후 진로

생명공학분야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미래 지향적인 과학자와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중앙대학교에 '시스템생명공학과'가 신설되어 신입생 모집을 시작하였습니다. 본 학과는 중앙대학교 생명공학과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최근 몇 년동안 최첨단 바이오 분야의 교원을 지속적으로 충원하여, 개별 멘토링과 학생 중심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실습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바이오 전문가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시스템생명공학과 졸업 시 다양한 바이오 분야는 물론 화학, 의약학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졸업생의 일반적인 진로는 제약, 화장품, 및 바이오 기업과 국가기관 및 정부출연연구소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또한 학부 졸업 후에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 진학과 해외유학으로 계속적인 학문 연구에 전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