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연구성과
-
약학부 강원구 교수 연구팀, “지속적인 중추신경계 약물 전달을 위한 전기방사 마이크로니들” 논문,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게재자세히보기
우리 대학 약학부 강원구 교수와 원지현 박사 연구팀은 의대 윤유식 교수와 함께 중추신경 약물의 지속적인 전달을 위한 전기방사 마이크로니들에 대해 논문을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발표했다
-
화학공학과 이창연 교수 연구팀, 극저온에서 작동 가능한 소프트 액추에이터 개발자세히보기
기존 소프트 액추에이터(Soft actuator)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소재 기술이 개발됐다. 화학공학과 이창연 교수, 김현성 석·박사 통합과정생 연구팀이 영하 80도의 극저온에서도 성능 저하 없이 작동 가능한 액정 엘라스토머(Liquid crystal elastomer) 기반 소프트 액추에이터 개발에 성공했다.
-
첨단소재공학과 박승근 교수 연구팀, 단일원자 전자구조 조절 기반 고성능 금속-공기전지 촉매 개발자세히보기
에너지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가운데,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받는 금속-공기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친환경성을 갖추어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유력 후보로 꼽히고 있다.
-
생명과학과 김근필 교수 연구팀,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의 DNA 합성 기전 규명자세히보기
생명체들은 다양하고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며 살아가며, 다음 세대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유전형질을 얻을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감수분열을 통한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 DNA에 프로그램 된 이중 가닥 절단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복구 기전으로 유전자 재조합이 이루어진다.
-
생명과학과 김근필 교수 연구팀, “BRF2 관련 희귀질환 원인 규명 및 관련 메커니즘 규명”자세히보기
RNA 중합효소는 복합체를 구성하는 인자에 따라 Type 1, 2, 3 로 나누어지며, 각 type 에 따라 발현시키는 RNA 가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