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연구성과
-
융합공학부 왕동환 교수,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기반 포토디텍터 개발자세히보기
융합공학부 왕동환 교수가 빠른 속도로 빛을 검출하는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기반 포토 디텍터를 개발했다. 주석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노이즈 억제 원리를 규명하는 성과도 거뒀다.
-
첨단소재공학과 유영재 교수 연구팀 수송기기 등 랩핑 필름용 수동복사냉각 소재 개발자세히보기
개발된 신소재는 탄성이 높고 매우 유연해 복잡한 형상의 물체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다양한 형태의 모델에 적용한 결과 상업용 쿨링 페인트 대비 8.76℃ 이상 냉각이 이뤄지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소재는 랩핑 필름 형태이기에 다양한 구조물에 부착할 수 있다. 냉각이 중요한 건물과 수송기기, 태양전지 웨어
-
융합공학부 왕동환 교수 연구팀, 유기 포토디텍터 신호·노이즈 감지 이론 규명자세히보기
차세대 이미지 센서 핵심기술 개발 계기 마련… 재료 분야 권위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표지 논문 선정
-
융합공학부 김태형 교수 연구팀, 나이브 배아줄기세포 전기화학 탐지·분석 플랫폼 제작자세히보기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나이브 상태와 프라임드 상태를 잘 배양하고, 나이브 상태의 세포를 정밀하게 검출하는 데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세포 대사 내 산화·환원 반응에 기반을 둔 전기화학 탐지 원리의 칩을 제작해 적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나이브·프라임드 혼재 환경, 상호전환 환경, MEF에서 나이브 상태로의 리프로그래밍 상황 등에 새롭게 개발한
-
에너지시스템공학부 문장혁 교수 연구팀, 대기 안정성 향상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기술 개발자세히보기
문장혁 교수 연구팀은 순수 LLZO 전해질에 갈륨과 탄탈럼을 첨가해 이종 원소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LLZO 전해질의 대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특히, 갈륨의 첨가를 통해 형성되는 제3의 물질 ‘LiGaO2’는 열처리 시 입자의 성장을 촉진시켜 탄산리튬의 성장을 막고 공기 중의 수분과 이산화탄소의 표면 흡착을 억제해 LLZO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