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챗봇 CHARLI 마스코트푸앙
Introduction

About CAU Introduction 3depth

글자 확대축소 영역

복수전공

복수전공이란?

다전공 과정중 하나로 주전공 학과의 전공과 주전공 학과 이외의 전공을 병행 이수하는 과정이며, 다양한 학문적 경험을 제공함.

신청 및 허가 절차

신청 자격

신입학자는 주전공학과(부)에서 2학기 이상, 편입학자는 주전공학과(부)에서 1학기 이상 이수하고 평균평점이 2.00 이상인 자.

신청 방법

  • 신입학자는 2학기부터 편입학자는 편입 당해학기, 학사일정에 정해진 신청기간에 중앙대 포탈(mportal.cau.ac.kr)에서 신청.(졸업예정 학기에는 신청할 수 없음)
  • 동일모집단위 학부 내에서의 타 전공에 대한 복수전공도 반드시 신청하여야 함.(ex: 인문대학 아시아문화학부 중국어문학전공 → 일본어문학전공)

복수전공 허가

  • 복수전공학과의 수용능력 등을 고려하여 복수전공 허가인원을 조정할 수 있음.
  • 복수전공 심사 시 신청자의 학업성적 및 별도의 평가 요소를 둘 수 있음.
  • 복수전공 학과(부)의 허가는 재학 중 2회를 원칙으로 함.
  • 복수전공 이수는 허가를 받은 다음 학기부터 시작함.
  • 복수전공을 이수할 경우 소정의 실험실습비를 부과할 수 있음.

복수전공 신청 제한

  • 약학대학, 의과대학,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법과대학 및 캠퍼스간 또는 동일캠퍼스 내에 복수전공 희망학과(부)와 동일, 유사학과(부)가 있는 경우에는 허가하지 않음.

    <서울, 다빈치캠퍼스 동일 또는 유사학과(부)의 범위>

    서울, 다빈치캠퍼스 동일 또는 유사학과(부)의 범위
    서울캠퍼스 소속 학과(부) 다빈치캠퍼스 소속 학과(부)
    체육교육과 스포츠과학부
    화학신소재공학부 첨단소재공학과
    융합공학부 나노바이오소재공학 첨단소재공학과
    융합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 첨단소재공학과
  • 복수전공을 취소한 학과(부)에는 재신청을 할 수 없음.
  • 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이수자가 아닌 학생이 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설치학과에 복수전공을 하는 경우 복수전공은 이수하되 교원자격증은 수여받지 못함.
  • 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설치학과에 2006학년도 이후 입학자 및 동 학년에 해당하는 편입학자부터는 복수전공 인원을 사범대학은 입학정원의 100% 이내, 교직과정 설치학과는 입학정원의 20% 이내로 제한함.

복수전공은 합격을 기준으로 2회까지 신청 가능(불합격 시 횟수 산정안됨)하며 2회 합격 시 취소를 하더라도 추가적인 신청이 불가능함.

학점 이수에 관한 사항

대학·학과별 복수전공 이수 기준표

대학,학부(과),복수전공 이수학점 항목으로 복수전공 이수 기준을 나열한 표
대학 학부(과) 복수전공 이수학점
전공 기초 전공 필수 전공 (전필+전선)계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9 12 33 45
영어영문학과 0 9 36 45
유럽
문화학부
독일어문학 10 15 30 45
프랑스어문학 4 15 30 45
러시아어문학 0 18 27 45
아시아
문화학부
일본어문학 6 15 30 45
중국어문학 10 15 30 45
철학과 6 18 27 45
역사학과 12 9 36 45
사범대학 교육학과 0 15 35 50
유아교육과 9 19 24 50
영어교육과 0 18 32 50
체육교육과 0 18 32 50
사회과학
대학
정치국제학과 0 9 36 45
공공인재학부 행정학트랙 12 18 27 45
정책학트랙 11 18 27 45
심리학과 3 9 36 45
문헌정보학과 12 15 30 45
사회복지학부 12 18 27 45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부
언론정보 9 9 36 45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9 9 36 45
도시계획·부동산학과 0 12 33 45
사회학과 0 12 33 45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14 17 28 45
화학과 14 15 30 45
생명과학과 14 18 27 45
수학과 0 15 30 45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건설시스템공학 0 18 27 45
건설환경
플랜트공학
0 18 27 45
도시시스템공학 0 18 27 45
건축학부 건축공학 0 18 27 45
화학신소재공학부 0 18 27 45
기계공학부 0 12 33 45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원자력 10 15 30 45
발전기계 10 15 30 45
발전전기 10 15 30 45
첨단소재공학과 0 12 33 45
창의ICT
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0 9 36 45
융합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 0 18 27 45
나노바이오소재공학 0 18 27 45
소프트
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0 18(23-2학기 이전 허가자는 12 학점) 27(23-2학기 이전 허가자는 33 학점) 45
AI학과 3 12 33 45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12 24 21 45
경제학부 6 9 36 45
응용통계학과 12

(~ 2010학번 까지) 18,

(2011학번 ~ 2017학번) 15,

(2018학번 ~) 12

(~ 2010학번 까지) 27,

(2011학번 ~ 2017학번) 30,

(2018학번 ~) 33

45
광고홍보학과 9

(~ 2024년 입학자 까지)6,

(2025년 입학자 ~)12

(~ 2024년 입학자 까지)39,

(2025년 입학자 ~)33

45
국제물류학과 0 9 36 45
산업보안학과 15 18 (2016 학번은 15) 27 (2016 학번은 30) 45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 11 0 54 54
영화 2 0 54 54
공간연출 8 0 54 54
공연영상창작 학부 문예창작 0 16 38 54
사진 0 9 45 54
무용 0 14 40 54
미술학부 한국화 0 12 42 54
서양화 0

(~2024)12

/(2025~)18

(~2024)42

/(2025~)36

54
조소 0 23 31 54
디자인학부 공예 0

(~ 2023) 14/(2024 ~) 15

(~ 2023) 40/(2024 ~) 39

54
시각디자인 0 17 37 54
산업디자인 0 17 37 54
실내환경
디자인
0 12 42 54
패션디자인 0 (~2021)17/(2022~)12 (~2021)37/(2022~)42 54
음악학부 작곡 7 16 38 54
성악 1 8 46 54
피아노 0 12 42 54
관현악 12 10 44 54
전통예술학부 음악예술 0 18 36 54
연희예술 0 18 36 54
글로벌예술학부 TV방송연예 0 18 36 54
실용음악 0 18 36 54
게임·콘텐츠 애니메이션 0 18 36 54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공학부 동물생명공학 0 18 27 45
식물생명공학 0 18 27 45
식품공학부 식품공학 0 18 27 45
식품영양 0 18 27 45
시스템생명공학과 12 15 30 45
예술공학대학 컴퓨터예술학부 12 15 30 45
예술공학부 12 15 30 45
체육대학 스포츠과학부 생활·레저스포츠 0 18 36 54
스포츠산업 0 18 36 54
골프 0 18 36 54
가상융합대학 실감미디어학과 0 15 30 45

사범대학의 경우 교직과정 이수에 따라 이수학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별도 문의 요망.

복수전공의 전공기초 과목은 ‘자유선택’으로 분류됨.

학과(부)별 복수전공과정 세부 기준은 해당 학과(부)로 별도 문의 요망. (이수기준은 매년 변경될 수 있음)

  • 주전공학과(부) 졸업시까지 이수하여야 하며, 복수전공 학점을 이수하지 못하였을 경우 본인의 희망에 따라 복수전공을 이수할 때까지 주전공학과(부)의 졸업을 유보할 수 있음.
  • 복수전공은 복수전공 학과(부)의 졸업요건에 필요한 최소 전공인정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다만, 전공기초과목은 학과(부) 필요에 따라 학과(부)장이 이수과목을 지정할 수 있음.
  • 2009학년도 이후 입학생부터 복수전공학과에서 개설한 전공필수도 이수해야 함.
  • 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설치학과에서 복수전공을 이수하는 자는 교원양성운영에 관한 시행세칙의 규정을 따름.
  • 복수전공이수 허가이전에 이수한 복수전공의 과목도 복수전공과목 학점으로 인정함.

이수 포기

  • 복수전공의 이수를 중도 포기하고자 하는 자는 복수전공취소신청서를 주전공대학 교학지원팀으로 제출하여야 함.
  • 복수전공을 포기한 경우 그동안 이수한 복수전공 학점은 자유선택 학점으로 인정함. 다만, 허가를 받은 경우 부·연계·융합·학생설계전공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음.
  • 복수전공 중도 포기자는 졸업요건이 충족된 당해 학기에 주전공 학위를 수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