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소속,학술지명,논문명,IF,Journal Quartile 항목으로 연구정보를 나열한 표
연구자 |
강신혁 |
소속 |
의과대학 |
학술지 명 |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
논문 명 |
Tumor Necrosis Factor-a-Treated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Enhance Inherent Radiation Tolerance and Alleviate In Vivo Radiation-Induced Capsular Contracture |
IF |
11.4 |
Journal Quartile |
|

의과대학 강신혁 교수 연구팀이 환자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활용해 유방암 재건에 쓰이는 보형물의 구형구축을 억제할 수 있는 활용방법이 담긴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암 재건은 현재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수술 방법이다. 신체조직 공여부의 희생과 긴 수술 시간의 부담을 줄이고, 미용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러 부작용과 위험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항암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경우 재건방법과 치료과정의 변경을 고려해야 하며, 주변 조직이 딱딱하고 두꺼워지는 구형구축, 조직괴사 등 합병증의 위험이 존재한다. 심한 경우에는 재건을 포기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강 교수 연구팀은 환자의 지방조직에서 분리한 줄기세포를 배양해 성장인자 분비 기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조직 재생의 효과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처럼 기능이 강화된 줄기세포를 보형물 표면에 안정적으로 적용해 유방암 수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 조사에 따른 구형구축을 억제할 수 있음도 입증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피인용도(IF, Impact Factor) 11.4를 기록한 저명 학술지 ‘Journal of Advanced Research’에 게재됐다. 상세한 연구 내용은 ‘Tumor Necrosis Factor-a-Treated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Enhance Inherent Radiation Tolerance and Alleviate In Vivo Radiation-Induced Capsular Contracture’ 논문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이번 연구성과가 우리 대학 융합공학부와 중앙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도출됐다는 점이다. 향후 학내에서 학문 간 활발한 공동연구가 진행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강신혁 교수는 “다양한 수술 이후 버려지는 검체인 지방조직을 활용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했다. 항암 방사선 조사로 인한 조직손상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특정 성장인자 분비능을 선택적으로 높여 세포를 활용했다”고 연구성과를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지방유래 줄기세포가 활용되며, 여러 치료 목적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신체조직의 결손과 손상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는 말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