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소재공학과
홈페이지첨단소재공학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첨단소재 관련 분야 기술과 제품의 혁신을 이끌어 국가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학문입니다. 에너지, 환경, 반도체, 통신, 센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부터 정밀화학, 우주 항공, 생체재료, 복합재료 등에 이르는 최첨단 산업 분야에 필수 불가결한 첨단소재의 구조, 합성, 공정 및 물성 평가 뿐만 아니라 계산과학/빅데이터/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 기반 첨단소재 개발을 교육하여 소재·부품·장비 산업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인재를 양성합니다. 특히, 기술 개발의 밑바탕이 되는 기초 소재 교육과 더불어 기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한 실무능력을 아우르는 현장 맞춤형 교육을 통해 미래의 첨단소재산업을 이끌어 갈 최고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교수진 소개
교수명 | 최종학위 및 대학 | 전공 | 강의과목 |
---|---|---|---|
김주헌 | 공학박사(중앙대) | 복합소재 | 경량복합소재, 에너지환경소재, 첨단소재부품PBL(1) |
남인호 | 공학박사(서울대) | 나노에너지소재 | 물리화학, 전기화학 |
유영재 | 공학박사(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기능성 에너지 하이브리드 소재 | 첨단유기소재, 고분자공학, 기능성복합재료 |
박승근 | 공학박사(서울대) | 에너지 저장 및 변환용 나노소재 | 첨단소재공학입문, 첨단소재과학, 공학기초양론, 첨단무기소재 |
류한준 | 공학박사(성균관대) | 에너지/전자소재 | 반도체공정및소재, 고체물리, 소재물성학, 소재열역학, 소재공업수학 |
장해성 | 공학박사(UNIST) | 에너지소재 | 전기화학, 전달현상론, 에너지저장소재, 첨단소재분석법 |
진영호 | 공학박사(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나노복합소재/첨단국방소재 | 일반화학실험, 결정구조론, 첨단국방소재, 반도체공학개론, 전자기재료 |
김재민 | 공학박사(서울대) |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재, 소재 인공지능 | 일반물리실험, 소재물리화학, 상변태학, 소재전산과학,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
교과목 소개
첨단소재공학 전공
학년 | 1학기 | 2학기 |
---|---|---|
1학년 | 미적분학, 일반화학(1), 일반물리학(1), 일반화학실험(1), 일반물리실험(1) | 선형대수학, 일반화학(2), 일반물리학(2), 첨단소재공학입문, 일반화학실험(2), 일반물리실험(2) |
2학년 | 첨단소재과학, 소재공업수학, 소재물리화학, 공학기초양론, 소재부품기초실험(1) | 소재열역학, 첨단유기소재, 첨단무기소재, 전산과학, 소재부품기초실험(2) |
3학년 | 고체물리, 첨단소재분석법, 전달현상론, 고분자공학, 소재부품공정실험(1) | 결정구조론, 상변태학, 전자기재료, 전기화학, 소재부품공정실험(2) |
4학년 | 에너지저장소재, 기능성복합재료, 첨단국방소재, 첨단소재캡스톤디자인 | 반도체공정 및 소재,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첨단소재졸업설계 |
졸업후 진로
첨단에너지소재 전공
그린 뉴딜의 중심이 되는 에너지를 첨단소재 개발을 통하여 공학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학문입니다. 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열전 소재 및 수전해소재 개발을 통한 에너지 자원문제 해결 및 지속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에 대해 연구합니다.
첨단정보소재 전공
5G, 6G 기술의 도입과 더불어 통신 및 클라우드 기술의 발달은 급격한 정보량의 증가를 야기시켰으며, 이를 신속하게 저장, 교환 처리하는 기술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첨단정보소재는 정보의 신속화와 과밀화로 인한 정보저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정보저장용/무선통신용 소재의 원천기술을 연구합니다.
첨단나노소재 전공
나노기술은 원자나 분자의 조작을 통한 새로운 극미세(10억분의 1m)분야에서의 새로운 첨단소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합니다. 나노재료는 기존의 일반 물리학의 범주를 넘어선 퀀텀의 영역에서 새로운 전기적, 광학적 물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재나 시스템에 응용을 연구합니다.
생체소재 전공
고령화 사회에서 요구하는 안정적인 생명 연장과 보다 높은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대체가능한 생체소재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생체소재는 고분자, 금속, 세라믹등 다양한 재료의 연구를 통한 생체적용을 목표로 바이오 센서, 인공장기, 임플란트, 약물전달 등의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기능성 바이오소재의 합성, 제조 및 응용을 연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