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대학원
홈페이지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소통방식이 다양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문화, 지식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본 대학원은 다양한 미디어를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 교수함으로써 우리나라 언론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인력개발과 지도적 관리능력을 양성하고, 현 전문 직업인들에게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재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담당업무 및 연락처
성명 | 직위 | 연락처 | 담당업무 |
---|---|---|---|
이승조 | 원장 | 02-820-5048 |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총괄운영 |
공용호 | 팀장 | 02-820-5065 |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업무 총괄 |
김지연 | 과장 | 02-820-5051 |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실무 |
- 위치303관(법학관) 708호
- 대표전화02-820-5051~5052
교수진 소개
교수명 | 최종학위 및 대학 | 전공 | 강의과목 |
---|---|---|---|
이승조 | 언론학박사/Indiana University | 미디어와 정서, 인지과학 | 방송영상제작론, 서사구조의 이해 |
성동규 | 언론학박사/Loughborough University | 사이버·모바일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와 이슈토론, 뉴미디어와 사회변화 |
이민규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Missouri | 저널리즘 및 뉴미디어 | 빅데이터와 디지털콘텐츠론, 스마트미디어와 디지털저널리즘 |
이재신 | 언론학박사/Cornell University | 온라인커뮤니케이션, 뉴미디어·사회연결망 | 커뮤니케이션 이론, 학문적 글쓰기 |
강진숙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Leipzig | 뉴미디어 컨텐츠와 문화, 매체미학 | 뉴미디어 퍼블리싱문화, 미디어교육과 질적연구방법 |
이숙정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 소셜 미디어 연구,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론 |
유홍식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Alabama | 미디어 효과, 조사방법론 | 콘텐츠 양적분석론, 미디어 심리학과 실험연구 |
이신행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Washington | 텍스트 마이닝, 빅데이터 분석 | 디지털미디어와 빅데이터 |
김민철 | 언론학박사/Indiana University | 정치커뮤니케이션 | 데이터사이언스 기초와 입문 |
조정식 | 광고학박사/University of Florida | 광고학 | 채널 플래닝, IMC |
황장선 | 광고학박사/University of Tennessee | 광고학 | 고급마케팅론,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캠페인 |
김정현 | 광고학박사/서울대학교 | 설득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자산 관리론, 설득커뮤니케이션 |
홍혜현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Missouri | PR | PR론 |
김유승 | 언론학박사/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 Mass Communication | 인터렉티브브랜드커뮤니케이션 |
김동후 | 광고홍보학박사/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Advertising | 전략적브랜드자산관리 |
교과목소개
전공구분 | 전반기 | 후반기 |
---|---|---|
차세대콘텐츠· 방송영상융합전공 |
방송콘텐츠기획과 비즈니스 | 숏폼콘텐츠 이해와 활용 |
OTT와 미디어산업 | 뉴미디어콘텐츠와 문화 | |
뉴미디어영상제작론 | 소셜미디어연구 | |
K콘텐츠 현장실무세미나 | 애니메이션(웹툰)서사구조 | |
디지털트렌드와 스토리플랫폼 | 디지털콘텐츠 기획·제작실습 | |
아이돌비즈니스와 K콘텐츠 | 디지털콘텐츠 캐릭터산업론 | |
이머징 미디어 스타트업 전략 | ||
ICT와 미디어융합론 | ||
미디어전략·데이터 커뮤니케이션전공 |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분석 실습 | AI와 정치·문화의 이해 |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저널리즘 | IP 매니지먼트 | |
AI와미디어 이슈 | 디지털플랫폼비즈니스와 창업 | |
데이터사이언스 기초와 입문 | 빅데이터 수집과 적용·분석 | |
데이터 스토리텔링 | 디지털플랫폼 마케팅 전략 | |
소셜미디어와 비즈니스 | 생성형AI의이해와 활용 입문 | |
공통 | 융합미디어 심리학 | 미디어커머스와 비즈니스 |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 |
디지털미디어 질적연구방법 | 뉴미디어와 사회변화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론 | 디지털시대 방송의 이해 | |
디지털마케팅전략론 | 디지털 미디어와 테크저널리즘 | |
미디어 이슈와 토론 | 방송영상비평론 | |
스타트업의 이해 | 스마트시대와 콘텐츠 | |
디지털 콘텐츠 이용자론 | 디지털마케팅관리론 | |
스마트 미디어시대의 미디어정책론 | 영상촬영 이론과 실제 | |
방송영상(정책)제도론 | 미디어콘텐츠 작가론 | |
미디어와 법제 | 디지털미디어 오디오론 | |
융합콘텐츠스토리텔링 | 방송통신정책론 | |
방송영상과 법제 | ||
퍼블리싱 콘텐츠 기획론 |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
졸업 후 진로
- 차세대콘텐츠·방송영상융합전공 : 방송/OTT/문화/SNS/개인미디어/K콘텐츠/스타트업/애니메이션/출판 등
- 미디어전략·데이터커뮤니케이션전공 : 데이터에 대한 과학적 분석, AI와 빅데이터 활용과 분석, 미디어 법제도/정책과 저작권, 글로벌/로컬 미디어기업 경영과 창업, 디지털 저널리즘 등